1. 정부는 치매를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겠다고 발표했다.
2. 지난 2017년 치매국가책임제가 시행된 지 3년이 지났다. 그 동안 치매에 대한 인식이 많이 달라졌다.
나라에서 관심을 가지니 일반인들이 치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많아졌다.
이전에는 보건소에서 여러 업무 중 하나로 치매 관련 업무를 담당했다.
하지만 치매안심센터가 생기면서 치매를 전담하고 인력이 배치돼 조기검진을 하고 환자에게 필요한 기구를 지원하고 있다. 치매 전담 인프라가 구축됐다는 의미다. 그 전에는 어디서 어떻게 도움을 받아야 하는지 몰랐지만 지금은 확실한 허브가 생겼다.
3. (충남대병원이 위치한) 대전시의 치매 관리 허브는 대전광역치매센터다.
인지 관련 콘텐츠를 개발해 대전의 치매안심센터에 전달하면 센터에서 치매 환자 가정에게 보내준다. 안심센터를 통해 대전 전 시민에게 인지학습지와 치매 예방에 필요한 운동과 식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대응 가이드북 등을 보급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과 활동들이 피부로 느껴지는 변화다.
4. 치매는 치료제만으로는 호전이 어렵기 때문에 환자들에게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인지중재치료를 시행할 때 학습도구를 환자들에게 적용하도록 하는 선생님이 필요하다. 선생님은 가족이 될 수도 있고 요양보호사, 생활보호사가 될 수도 있다. 이들을 교육시켜 재가훈련 또는 시설훈련을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인지중재치료는 일주일에 2~3번, 혹은 환자가 받고 싶은 만큼 받아야 하는데 현재 그렇게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런 부분에서 개선이 필요하다.
5. 대부분의 환자는 요양원이나 시설로의 이동을 무서워한다.
환자들은 시설로 가지 않고 집에서 가족들과 함께 하기를 바란다. 이를 위해서는 요양보호사의 방문 시간 확대 등 가정 지원이 더 많아져야 한다. 신체 장애를 위주로 등급을 정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치매 환자가 낮은 등급을 받게 되는 점과 치매 관련 전문가 양성 등도 보완이 필요하다.
* 청년의사 사이트에서 펌글입니다.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