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관리자
  • 글쓰기
  • 새글보기
  • 전체보기 (1900)
    • 알콩달콩우리가족 (328)
    • 좋은가정만들기 (94)
    • 교육과 좋은부모되기 (83)
    • 어린이집이야기 (85)
    • 치매 엄마 (62)
    • 출산과 육아 (115)
    • 복지와 보육정책 (84)
    • 우리밀파파의 교육 (23)
    • 영혼의 양식 (76)
    • 음식과 건강 (238)
    • 법률산책 (9)
    • 문화즐기기 (183)
    • 사랑과 연애 (43)
    • 생활의 지혜 (130)
    • 자연과환경 (2)
    • 이런 인생 저런 삶 (28)
    • 유용한정보 (59)
    • 아줌마의 한마디 (41)
    • 여행과 맛집 (11)
    • 언니의기행 (18)
    • 우리집 반려견 (39)
    • 궁시렁 낙서장 (127)
    • 우리고장이야기 (14)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정신건강

  • 범생이 울 아들,6학년이 되자 까불이로 돌변한 사연

    2024.02.24 by 우리밀맘마

  • 서울시교육청 조사 아이들 3.4%가 정신건강 관심군으로 분류

    2018.07.05 by 우리밀맘마

  • 불안장애 극복, 불안이란 무엇인가?

    2017.09.07 by 우리밀맘마

  • 건전한 인격을 가진 사람들의 특징

    2017.07.19 by 우리밀맘마

  • 감정을 이해하면 정신건강이 보인다

    2017.07.18 by 우리밀맘마

범생이 울 아들,6학년이 되자 까불이로 돌변한 사연

아이들은 태어나면서 기질을 가지고 태어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아이들의 기질을 크게 까다로운 기질, 순한 기질, 조심성 있는 기질로 구분을 하더군요. 우리집을 보면 아기 때부터 딸들은 까다로운 기질을 타고 나고, 울 아들 뚱이는 순한 기질을 타고 태어난 것 같습니다. 유치원에나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을 볼 때도 까다로운 기질들은 자신을 잘 들어내기 때문에 선생님께서 관심을 두지 않을수 없다고 합니다. 하지만 순한 기질을 타고난 아이들은 겉으로 보기엔 전혀 문제가 없어 보이기 때문에 선생님의 관심을 받지 못할 수가 있다고 하더군요. 그래서 그런 순한 아이도 선생님이의 관심과 사랑을 원하고 있기 때문에 작은 얼굴 표정하나, 말 한마디라도 바라봐주고 얘기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까다로운 울 우가의 경우을 ..

알콩달콩우리가족 2024. 2. 24. 10:43

서울시교육청 조사 아이들 3.4%가 정신건강 관심군으로 분류

우리 아이들의 정신건강에 대한 의미있는 조사가 그 내용을 소개합니다. 2016년 서울시 교육청이 학생 정서 행동특성 검사를 실시했는데, 무려 조사대상의 3.4%가 정신건강 관심군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서울시교육청의 2016학년도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을 검사했다. 2. 검사는 초등 1,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고교 1학년 학생 31만851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결과 조사 대상 초·중·고교생의 약 3.4%인 1만698명이 정신건강(자살) 관심군으로 분류됐다. 3. 조사 대상이 전체 학년의 3분의 1 수준인 점을 고려하면 자살 위험군 등을 포함한 관심군 학생은 단순 계산으로도 3만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우울증이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DHD ) 등을 포함하면 그 수..

교육과 좋은부모되기 2018. 7. 5. 22:49

불안장애 극복, 불안이란 무엇인가?

불안, 스트레스, 두려움, 공포, 걱정, 근심, 압박감, 긴장 - 기술적으로 말하면 이 단어들은 서로 다른 뜻을 지녔지만, 이는 20세기의 가장 흔한 문제중 하나를 묘사하기 위해 혼용되는 말들이다. 사람들은 20세기를 ‘불안의 세기’하고 일컫는다. 불안은 ‘우리 시대의 공식적 정서’로서, 우리 시대에 가장 널리 퍼져있는 심리적 현상이다. 불안은 모든 신경증과 정신병의 원인으로서, Rollo May는 불안을 ‘이 시대의 가장 절박한 문제중의 하나’라고 보았다. 불안이란 무엇인가? 위험이 다가오고 있다고 느기게 하는 염려와 긴장과 답답함의 감정을 말하지만, 그러나 논리적으로나 혹은 합리적인 원인으로 생겨나는 것은 아니다(Raymond L. Cramer). 불안은 인지, 감정, 생리, 및 행동적 요인에 의해 ..

음식과 건강 2017. 9. 7. 11:47

건전한 인격을 가진 사람들의 특징

마음이 건강하고 성숙한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첫째로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사람둘째로 현실을 현실대로 받아들일 줄 아는 사람 세째로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행동하는 사람 넷째로 자신의 전인적 성격을 이해하는 사람 이라 할 수 있다. Peter T. Hountras는 성숙한 사람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한다. 1. 자신을 존경할 줄 알며 타인도 존경과 신뢰로 대하며 생에 대하여 원만한 태도를 지닐 수 있어야 한다.2. 자기가 하는 행동에 대하여 책임을 질 수 있고 일하고 노는 행동에서 만족을 경험할 수 있어야 한다.3. 타인의 불행이나 요구에 대하여 민감성을 표시할 수 있다.4. 성취할 수 있는 실현 가능한 목표를 세운다.5. 사회가 옳다고 인정하는 범위 안에서 만족의 대상과 관심과 자원들을 ..

음식과 건강 2017. 7. 19. 22:54

감정을 이해하면 정신건강이 보인다

감정의 근원을 알아보면 ' 유쾌한 감정과 불쾌한 감정 ' '생산적 감정과 파괴적 감정'이란 두가지 범주로 분별할 수 있다. 인간은 심리적으로 외부의 자극에 반응하는 존재로서 일반적으로 좋아하는 감정에 관심을 갖게 마련이다. 그러나 파괴적 감정을 느낀다는 것은 무의식 안에 어떤 문제가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파괴적 감정을 살펴보면 불쾌한 기분에서 실망하는 기분으로 실망한 기분에서 공포의 정서로, 공포가 분노의 감정으로 전환된다. 불쾌한 감정을 경험할 수 밖에 없는 불쾌한 사건은 그 사건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생산적인 것이 될 수 있고 파괴적인 것이 될 수 있다. 정신 건강이란 생산적 감정으로 만들어 나갈 수 있는 심리적 힘이고, 정신병리라는 파괴적 감정으로 이끌리는 심리적 허약성을 말한다...

음식과 건강 2017. 7. 18. 22:35

추가 정보

반응형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우리밀맘마
행복한 맘'ⓢ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