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를 들어, 한 아이가 아빠에게
“아빠, 우리 부산시에는 고아가 얼마나 있을까요?”
이제 겨우 초등학교에 들어간 아이가 이런 질문을 하니 아빠는 순간 당황합니다. 한편으로는 학교에서 이런 사회적인 문제에도 관심을 갖게 했구나 싶어 대견하기도 하구요. 그래서 아빠는 아이와 함께 인터넷을 검색해가며 아이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시작합니다.
그런데 아이는 여기서 그치지 않고, 서울에는 얼마나 될까요? 일본, 미국은 얼마나 될까요? 이런 식으로 질문에 계속 이어갑니다. 처음에는 우리 아들의 생각이 이렇게 깊구나, 그리고 고아에 대해 깊은 관심을 갖다니 우리 아이 참 착하구나, 얼마나 대견했겠습니까? 그래서 아이가 원하는 답을 찾기 위해 열심히 키보드를 누릅니다. 그런데 원하는 답을 찾아주는데 도리어 아이는 만족해 하지 않고 계속 그 질문을 확대합니다. 그리고 아이의 얼굴은 더 불안해합니다.
아하~ 우리 아이가 듣고 싶은 답은 고아의 수가 아니구나. 비로소 아빠는 아들의 염려가 사회적인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문제인 것을 알아챘습니다. 자기도 버림받을지 모른다는 불안감. 그것이 고아가 우리 사는 동네에 얼마나 될까 하는 질문으로 나타난 것이죠. 그리고 자신은 절대 버림받지 않을 것이란 믿음을 아빠로부터 얻고 싶었던 것입니다. 아이의 마음을 읽은 아빠가 이렇게 대답합니다.
해변에서 즐겁게 시간을 보내는 모녀 @사진 레몬박기자
“엄마 아빠가 어떤 부모들처럼 널 버릴까 걱정이 되었구나. 걱정하지마. 우린 널 절대 버리지도 혼자 있게도 않을거야. 그런 걱정하기 보다는 우리 엄마 아빠 건강하고, 행복하게 사랑하며 살도록 해주세요. 이렇게 하나님께 기도하는 게 어떨까?”
아빠의 말을 들은 아들, 비로소 얼굴이 환해집니다. 이처럼 아이와 대화하기 위해서는 부모가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왜 저런 질문을 할까? 우리 아이는 무엇을 알고 싶은 것일까? 그렇게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면서 반응하면 부모와 아이의 관계는 한층 더 친밀해지겠죠.
얼마전 "안녕하세요"" 라는 프로그램에 코스프레에 빠진 딸을 걱정한다는 엄마의 사연이 올라왔습니다. 엄마가 보내온 사연을 들을 때는 정말 딸이 큰일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조금 후 아이의 이야기를 들은 뒤에는 딸보다는 엄마가 더 문제라는 사실이 드러나더군요. 엄마는 자기 생각에 사로잡혀 딸의 생각, 딸의 꿈, 딸의 재능을 전혀 알지도 이해해주질 못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대화의 장벽이 생겼고, 서로 감정의 골이 깊어져 갔던 것입니다.
아이는 부모가 자기감정을 이해해 주고 있다고 느낄 때, 난 더이상 외롭지 않으며, 날 이해하는 부모님이 있기에 세상에 대해 자신감을 갖고 나설 수 있습니다. 아이 마음에 있는 상처도 스스로 치유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부모의 깊은 동점심은 상처받은 마음을 달래는 정서적인 치료제 구실을 한답니다.
그리고, 이렇게 이해심 있는 부모를 아이는 더 사랑하게 될 것입니다.
|
by우리밀맘마
↙자녀와 대화를 위해 자녀들이 좋아하는 TV를 함께 보는 아빠
↙아파트 층간 소음 스트레스 대화로 잘 풀어낸 사연
↙아무리 늦은 밤이라도 울 부부 함께 꼭 해야 하는 일
↙울 아이 하는 말, 엄마가 달라졌어요
↙중학생인 울 딸도 자살을 생각했었다는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