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은 "국민들은 전기 안전 관리를 위한 요령을 숙지해야 한다"고 당부한 뒤 "간단한 사전 예방 조치만 취해도 정전을 막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다음은 태풍이나 집중 폭우시 정전 예방 및 전기안전 관리 요령입니다. 제가 좀 쉬운 말로 고쳐봤습니다.
▲ 전력설비에 가끼이에 있는 나무들은 강풍에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대를 설치하고, 나뭇가지가 전력선에 접촉하지 않도록 사전에 가지치기를 해줘서 나뭇가지와 전기선이 충분히 떨어져야 한다.
▲ 간판, 지붕, 천막 등은 강풍에 날리지 않도록 접속부를 잘 점검하고, 이상이 있을 경우 사전 보강조치를 취한다. (태풍이 불 때 이 간판이 떨어져 인명사고가 많이 난다고 하더군요. 길 지나실 때 특히 조심하셔야 겠습니다.)
▲ 도로변의 가로등, 교통신호등, 입간판 등과 같이 전기를 이용하는 시설물이 물에 잠겼을 때는 감전을 예방하기 위하여 접근을 금지한다. (가급적 거리로 나가지 않는 것이 좋겠죠)
▲ 집안이 침수됐을 경우 전기 콘센트나 전기기기 등을 통해 전기가 흐를 수 있기 때문에 배전반(일명 두꺼비집)의 전원스위치를 반드시 내린 다음, 물이 완전히 빠진후 전문기관의 점검을 받은 후 집으로 들어가야 한다.
▲ 손이나 발에 물이 묻은 상태에서 전기기기를 다룰 때는 감전사고 가능성이 평상시보다 훨씬 높기 때문에 반드시 물기를 제거 한 뒤 전기제품을 취급해야 한다.
▲ 세찬 비바람이 몰아쳐 전주 위의 전선이나 전주에서 집으로 연결된 전선이 끊어진 것을 발견하였을 때는 절대로 접근하거나 만지지 말고 한국전력(국번 없이 123)으로 즉시 신고해야 한다.
▲ 농촌에서 폭우가 쏟아질 경우 야외에서 작업을 많이 하는데 이때 모터와 같은 전기장치를 만질 때는 손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 후 주의를 기울이면서 전기장치를 만져야 한다.
▲ 야외에서 낙뢰가 발생하면(벼락이 떨어지면) 나무나 전주 바로 밑은 위험하므로 나무에서 적어도 1~2m 이상은 떨어져 있어야 한다.
▲ 끊어진 전선이나 침수된 전력설비를 발견하면 한전 직원들이 올 때까지 절대로 접근하지 말고 기다려야 한다.
일단 오늘 밤 쓰지 않는 가전제품의 전원 콘센트를 다 뽑아놓을 예정입니다. 특히 컴퓨터의 랜선은 벼락이 칠 경우 컴퓨터 고장의 주요 원인이 된다고 하니, 하루 밤 불편해도 인터넷을 하지 않는 것이 좋지 않을까 싶네요. 여긴 경남이긴 해도 태풍의 풍속이 장난 아니라고 해서 아파트 유리창에 테이핑을 다 해놓았습니다. 자동차도 혹시 지하주차장이 잠길 우려가 있어서 지상 주차장에 옮겨놨구요.
제발 태풍이 조용히 지나가줬음 하는데, 그러면 태풍이 아니겠죠. 모두들 대비 잘하셔서 무탈하시길 기원드립니다.
|
by우리밀맘마
댓글 영역